사용량 추정
-
다음 역계산 식을 적용하여 마약류 사용 추정량을 계산하였습니다.
$\boldsymbol{Daily\ drug\ consumption\ rate} \left ( \frac{\frac{mg}{day}}{1000people} \right ) = \frac{C_{i}\times F \times \frac{R_i}{E_i}}{P}$
$C_i$: 마약류 i 의 미처리된 하수시료의 잔류 농도(모물질 또는 대사산물, ng/L)
$F$ :하수처리장의 시료채취일 일일 유입 유량 (L/d)
$P$ :하수처리장 처리 지역 인구수
$R$ :모물질 (parent drug)과 조사대상물질의 몰 질량 비율 (molar mass ratio)
$E_i$ : 분석대상 마약류 체내 평균 대사 후 배출 비율
-
암페타민의 경우 메트암페타민으로부터 기인한 대사체로서의 유입 가능성을 보정하기 위해 아래 식을 적용하여 사용 추정량을 산정하였습니다.
$\boldsymbol{Amphetamine\ usage} \left ( \frac{\frac{mg}{day}}{1000people} \right ) = \frac{ (C_{AMP} - C_{MA} \times 0.15 ) \times F \times 3.33}{P}$
$C_{AMP}$ : 암페타민의 하수처리장 유입수 내 잔류농도(ng/L)
$C_{MA}$ : 메트암페타민의 하수처리장 유입수 내 잔류농도(ng/L)
$0.15$ : 메트암페타민에 대한 사용량 보정값(MA/AMP=6.7)
$F$ : 하수처리장의 시료채취일 일일 유입 유량(L/d)
$3.33$ : 암페타민 인체 배출률
$P$ : 하수처리장 처리 지역 인구수
1) 1차년도(2020년)
- 국내 생활하수처리장 유입수를 대상으로 마약류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국내 지역을 대표할 수 있는 곳을 선정하여 분기별로 시료 채취를 수행하였습니다.
- 1차년도 조사대상 지점으로는 하수처리장 시설용량 기준 100,000 m3/day 이상의 56개소와 세종특별자치시 1개소를 포함하여 총 57개소를 선정하였습니다. 대상 하수처리장의 구역 내 하수처리인구는 2020 국가하수도정보시스템 기준으로 약 3,700만 명으로 이는 전체 국민 5,200만 명 중 약 72%에 해당합니다.
1) 1차년도(2020년)
- 환경부 ˹하수도통계˼, 하수처리인구의 하수처리 인구를 사용하였습니다.
- 현재 국내에서는 국가하수도 정보시스템의 인구조사에 의존하고 있는데, 해당 자료는 1년 단위로 조사되는 개괄적 자료로서 시기별·지역별 유동인구에 대한 현실적인 반영이 어렵습니다. 따라서 기존의 WBE 기법을 보완하기 위한 지역별 유동인구 추산에 관한 추가 연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