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Q

  • 기존의 마약류 사용량에 대한 조사는 설문조사, 마약 사범 관련 정보 조사와 같은 간접 조사 방식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방법은 긴 조사 기간, 지역과 시기에 따른 사용량의 추이나 동향을 확인하기 어렵다는 한계점이 있습니다. 이러한 배경에서 하수기반 역학 마약류 모니터링 연구가 기존의 마약류 조사 방식의 대안으로 제시되었습니다.
  • 하수기반 역학 마약류 모니터링은 지리학적 및 시간적 추세에 대해 짧은 시간내 시기적절한 정보를 제공하여 기존의 한정적인 데이터와 실제 사용량 간의 간극을 줄일 수 있습니다. 장기적인 자료 축적 시 국내 마약 사용량 변동 추이에 대한 객관적 자료 획득이 가능하며 마약류에 대한 실제 사용행태 정보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마약남용 우려지역을 확인할 수 있으며, 대응 전략의 효과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습니다.

  • 하수기반 역학 마약류 모니터링은 시료 채취 빈도에 따라 마약류 사용량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유병률 및 사용빈도, 이용자 수, 이용자 유형, 의약품 순도 등의 정보는 제공할 수 없다는 한계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추정치의 정확성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하수 분석 데이터와 다른 지표를 통해 얻은 데이터 간의 추가적인 비교가 필요합니다.

  • 마약류 사용량 예측을 위해 수질 매체에서 농도를 평가하는 접근 방식은 2001년 미국 환경 보호국(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에서 처음 제시되었고, 2005년 이탈리아에서 마약류(코카인 및 대사물질) 사용량 추정에 최초로 적용하였습니다.
  • 이후 유럽, 호주, 중국, 뉴질랜드 등의 국가에서 하수역학 기반 마약류 분석이 정부 차원에서 주기적으로 실시되고 있습니다(표1).
    표1. 국외 하수역학 기반 마약류 모니터링 수행 현황
    국가 프로그램 주관기관
    호주 National Wastewater drug monitoring program (NWDMP) The Australian Criminal Intelligence Commission (ACIC)
    유럽 Sewage Analysis CORegroup Europe (SCORE) European Monitoring Centre for Drugs and Drug Addiction (EMCDDA)
    캐나다 Wastewater-based Estimates of Cannabis and Drug Use in Canada - Pilot test Detailed Results Statistics Canada
    뉴질랜드 National wastewater testing programme New Zealand Police, Institute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Research (ESR)

1) 하수기반 역학은 검출된 물질 전량이 인체로부터 배출된 것으로 가정하므로 폐기된 마약류의 하수 유입 가능성, 강우량 등의 변수로 오차가 발생할 수 있습
     니다.
2) 소비율 추정을 위한 역계산식에 적용되는 인자들에서 오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인체 배출률: 인종, 식습관, 생활방식 등의 차이로부터 달라질 수 있으며 연구마다 보고된 배출률 값이 서로 차이가 있는 물질도 존재합니다.
  • 인구수: 인구산정 방식의 차이에 따라 사용 추정량 값이 달라질 수 있는데, 하수 시료를 채취한 날 그 지역에 머문 인구수 산정이 현실적으로 어려워 추정 값에 오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